

(사진) ‘이능 인재 채용 프로젝트’로 채용된 자폐스펙트럼증(ASD) 남성.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다. (오므론 제공) (산케이신문)’
선천적으로 뇌 기능이 치우쳐 있어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주의가 산만하다는 특성이 있는 발달장애. 이들 중에는 높은 독창성과 집중력을 발휘하는 사람도 있어 이러한 특성으로 개인의 스킬(능력)과 업무 적성을 판단해 채용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의욕이나 능력이 있으면서도 뜻대로 취업이 되지 않았던 ‘잠자는 인재’가 활약하는 장을 늘리는 데 목적이 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 < 기술력
지난 2022년 대형 전자기기업체 오므론 구사쓰사업소(시가현 구사쓰시)는 자폐성을 보이는 발달장애 남성을 기술직으로 채용했다. 프로그래머로 일하는 이 남성은 주변 소리에 민감해 업무 중에는 항상 이어폰을 끼고 있다.
대학원에서 정보학을 전공하고 높은 프로그래밍 기술을 가졌지만,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장애 특성 때문에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그러한 가운데 오므론이 2021년부터 실시한 ‘이능 인재 채용 프로젝트’가 눈에 들어왔다.
‘커뮤니케이션 능력보다 기술력’을 내세우며 대인관계 스킬은 중시하지 않는다. 지원자는 2~3주 진행되는 인턴십에서 과제에 도전하고 업무 적성 유무를 확인한다. 특징적인 것은 면접 전형을 중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담당자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는 게 아니다”라고 말한다.
한편, 배속 후에는 기업 내 전문의나 상사도 함께 직장에서의 고민을 들어보는 면담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등 두터운 체제를 갖춘다.
극단적으로도 비춰지지만, 목적은 치열한 기술 개발 경쟁을 이겨내기 위해 첨단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지닌 인재를 확보하는 데 있다. 이 남성은 해당 프로젝트로 채용된 첫 번째 인재다. 근무 태도가 성실하고 동료로부터 신뢰도 받는다.
오므론 그룹사 담당자는 “기존 채용에서는 묻혀 있던 인재가 많다. 오므론이 추구하는 인재와 그들의 능력이 일치됐을 때 전력이 된다”고 의의를 밝혔다.
출처 : 제이케이데일리 – http://www.jk-daily.co.kr


